최근에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주휴수당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이 많아 사업주 분들이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주휴수당의 존재는 아시지만 구체적인 부분은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휴수당의 근거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 :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2 주휴수당의 의미와 취지
주휴일은 근로자가 근로의 의무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날을 말하며 근로자의 건강유지, 문화적 생활의 향상을 위하여 마련된 것입니다.
이러한 주휴일에 근로자가 받는 임금을 의미하며 모든 근로자가 적용 대상이지만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로하여야 합니다.
3 주휴수당을 알아야 하는 이유
주휴수당도 임금이므로 미지급시에는 임금체불로 노동부의 진정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사업주 분들이 주휴수당을 간과하셔서 임금체불 진정의 대상이 됩니다.)
‘월급에 모두 포함된다’ 는 형태로 급여를 지급하시는 사업주가 많은데, 적절한 설계를 받지 않으시면 근로시간에 따른 기본급으로 산정되어 별도로 주휴수당을 지급 하셔야 할 수 있습니다.
Check Point : 한 주간 소정근로일을 개근하여야 하며, 다음 주까지 일할 예정인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4 케이스 별 주휴수당 지급 여부

노무법인 지오에서는 자영업자 분들을 대상으로 시급제 근로자, 이외에도 월급제, 연봉제 근로자의 적법한 임금체계 설계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저희가 제공해드린 컨텐츠 이외에 궁금하신 사항들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주시길 바랍니다.